동작충효길 4코스 노량진길(노량진역-노량진수산시장 입구-노량진근린공원-옛 공군본부 터-견우와직녀교-
무장애산책로-용마산-신대방삼거리역)지금이다걷기여행후기
일자 : 2021.2.11 (목) 거리 : 3.4km
동작충효길4코스 걸은 방향
노량진역-노량진수산시장 입구-노량진근린공원-옛 공군본부 터-견우와직녀교-무장애산책로-용마산-신대방삼거리역
동작충효길4코스 노량진역에서 도심구간을 거쳐 노량진근린공원, 용마산 구간은 개인적으로 편하게 산책 하는
기분으로 걷기 참 좋은 구간 입니다. 걷기 난이도 하
동작충효길4코스 표식은 잘 되어 있는데, 구간구간 디테일이 아쉽네요.
저는 동작충효길 3코스, 4코스, 5코스 같이 걷기에 동작충효길3코스 마치고 동작충효길4코스 계속 걷습니다.
동작충효길 현황
동작충효길 1코스 고구동산길 배수지공원~현충원 상도출입문 거리 : 3.2km
동작충효길 2코스 현충원길 현충원 상도출입문~동작역 거리 : 2.6km
동작충효길 3코스 한강나들길 동작역~노랑진역 거리 : 4.7km
동작충효길 4코스 노량진길 노량진역~신대방삼거리역 거리 : 3.4km
동작충효길 5코스 신대방삼거리역~보라매역 거리 : 2.7km
동작충효길 6코스 신대방삼거리역~현충원 상도출입문 거리 : 4.8km
동작충효길 7코스 백운고개 생태다리~사당역 거리 : 3.6km
노량진역
동작충효길 4코스 들머리...1호선 노량진역 앞에 있습니다.
동작충효길4코스 걷기 시작 합니다.
현재 노량진역으로 해서 육교 건너가서 노량진수산시장을 갈 수 없게 되어 있네요.
계속 직진 합니다. 서울지하철9호선 노량진역
사충서원 터
노량진수산시장 입구
왼쪽 동작충효길 표식...동작충효길4코스에는 왼쪽 표식이 있네요.
유일한 선생 스토리보드...유한양행 본사 건너편에 세워져 있네요
유한양행 본사 건물...예전엔 이 모습이 아니었는데...
현대자동차 남부사업소 입구
동작충효길4코스 표식...왼쪽 신대방삼거리역 아래 이정표는 파손 되어 있네요. 신대방삼거리역 방향으로 갑니다.
동작충효길4코스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 입니다. 오른쪽으로 갑니다.
저는 직진해서 갔다가 다시 와서 걸었네요.
대방2차 현대아파트
동작충효길 표식 체계는 상당히 잘 되어 있습니다. 좌,우로 시,종점 지명 바뀌지 않고 계속 표시 되고 아래 부분엔
경로 지명만 바뀌는 표시 체계
대방동 지명 유래
노량진근린공원 입구
걷기 참 좋습니다.
옛 공군본부 터 역사
옛 공군본부 터 조형물
견우와 직녀교
노량진 근린공원 내 대방공원 종합안내도
뒤 건물은 성남 중,고등학교 입니다.
동작충효길4코스는 용마산정상을 가지 않습니다.
무장애산책로 구간 입니다.
박태보 설화
용마산 지명 유래
91계단
동작구 벽화거리
성대경로당
동작구 새벽 어린이공원
벽화거리에서 본 유일한 벽화네요.
직진해서 횡단 보도 건너 갑니다.
성대시장 입구 및 성대시장 조형물 옆에 동작충효길4코스 종점 및 동작충효길5코스 들머리
동작충효길4코스 종점 및 동작충효길5코스 들머리
지도출처 : 동작구청 홈페이지...동작충효길4코스 지도
지도출처 : 동작구청 홈페이지...동작충효길 전체노선도
지금이다걷기여행후기
전국 걷기, 등산 여행 후기
rqueen31.tistory.com
지금이다! 걷기 여행 후기 : BAND Page
지금이다! 걷기 여행 후기
band.us
--- 사진 및 동영상 무단 사용 금지, 재배포 금지 및 2차 가공금지---
본 컨텐츠 무단 전재(轉載), 인용(引用), 상업적 사용 금지
컨텐츠를 제작하는 창작자에게는 컨텐츠 내용, 사진, 문구 등 땀과 노력으로 만드는 저작인격권 & 지식재산권의 편집저작물입니다.
저작권법 제6조(편집저작물) ①편집저작물은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
편집저작물을 전체로 이용(복제)해야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편집물 중 소재의 선택이나 배열에
관해 창작성이 있는 부분을 이용하면 반드시 전부를 이용하지 않아도 저작권의 침해(대법원 1993.1.21. 고지, 92마1081 결정)
사진저작물은 피사체의 선정, 구도의 설정, 빛의 방향과 양의 조절, 카메라 각도의 설정, 셔터의 속도,
촬영기회의 포착,기타 촬영방법, 현상과 인화 등의 과정에서 촬영자의 개성과 창조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에 해당한다. 외부적 표현에 저작자의 창작·노력에 따른 개성이 어떠한
형태로든 나타나 있으면 충분하다.(서울중앙지법 2007가합16095 판결)
(C)2021 지금이다. All Rights Reserved.